2023바다미술제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Flickering Shores, 
            Sea Imaginaries)》는 바다와 우리의 관계를 재고하게 하고, 
            해안의 아름다움과 취약성을 동시에 언급하며, 바다와 해양 환경에 
            관여하기 위한 대안적인 틀과 비전을 모색합니다.
        
            바다는 우리의 삶과 자본주의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생존에 필수적인 
            원천일 뿐만 아니라 식량, 의약품, 에너지, 광물, 무역, 여행 등을 위해 이용하는 
            거대 산업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규모 크루즈 관광, 해운, 남획부터 핵실험, 오염, 
            심해 채굴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바다에 해를 끼쳐 해양 
            생태계와 서식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는 해안에서 바라본 바다를 상품 이동에 쓰이는 
            분절되고 추상적인 표면으로 보는 대신 우리가 이 수역의 일부임을 상기시켜 줍니다. 
            올해 바다미술제는 바다 및 해양 생태와 맺는 새로운 관계를 탐색하고, 저항과 복원을 
            요청하는 차원에서 협력과 공동의 비전, 시너지 창출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
더보기

Artist

작가

레나타 파도반

                                            레나타 파도반은 토지 점유 관련 문제와 그로 인한 생태적,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결과를 조명하는 소통을 시적인 방법으로 창조한다. 최근에는 생태계 파괴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 대부분으로, 작가는 2012년부터 아마존에서 삼림 벌채, 하천 오염, 수력발전소의 파괴적인 영향에 중점을 두고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다양한 AIR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2023년부터는 과학자들과 함께 타라 오션 유럽 탐사에 참여하여 해양 표면을 탐사하고 분석한다. 작가의 작품은 브라질과 전 세계 여러 나라의 갤러리와 기관, 미술관에서 전시된 바 있다.                                        
더보기
작가

하이퍼콤프

                                            하이퍼콤프는 2017년 아테네에서 가상의 회사 프로필로써 처음 만들어졌지만 실제로 그리스 티노스 섬에 기반을 둔 다분야적이고 사변적인 디자인 아티스트 그룹이다. 하이퍼콤프의 연구 주제는 주로 자연과 문화, 가축화와 생태계 네트워크, 전통과 기술, 그리고 작은 섬 지역 사회가 직면한 문제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은 학제 간 협업과 지역사회가 생산에 참여하는 방식을 장려하며, 여기에는 종종 다양한 생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은 공간 활성화, 멀티미디어 작품, 지속 가능한 디자인 프로토타입 및 오브제로 나타나며, 유기체와 무기체 주역들이 모두 등장하는 역동적인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더보기
작가

무한나드 쇼노

                                            무한나드 쇼노는 작품의 매체나 규모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그의 작업은 이야기로 촉매화되고 구조화되며 개인적, 집단적, 역사적 진실을 창작하고 견주며 내러티브의 힘을 활용한다. 활동 초기부터 지금까지, 어린 시절 기억의 영향을 받아 작가는 자신의 삶을 특징짓는 실제 경계와 실존하지 않는 경계를 탐구하는 데 작업의 목표와 표현의 뿌리를 둔다. 사적인 드로잉에서부터 대규모 조형 작업과 기계적이고 기술적 작품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걸쳐 선보여 온 그의 모든 작품은 우리에게 권하고자 하는 여정을 밝혀준다.                                        
더보기
작가

메릴린 페어스카이

                                            호주 시드니에 거주하는 메릴린 페어스카이는 최근 비디오와 사진 작업을 통해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강력한 사건이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있다. 현재 기술, 원자력 풍경, 커뮤니티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를 위해 카자흐스탄의 폴리곤, 영국의 셀라필드, 체르노빌 및 기타 주요 원자력 발전소 현장을 방문했다. 그의 작품은 뉴욕 현대미술관, 런던 테이트 모던,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 시드니 현대미술관, 뉴사우스웨일스 주립미술관 등에서 열린 180회 이상의 전시회와 페스티벌에 소개되었다.                                        
더보기
작가

펠릭스 블룸

                                            펠릭스 블룸은 사운드 아티스트 겸 엔지니어이다. 소리를 주소재로 사운드 작품, 비디오, 액션, 설치 작업을 하는 그의 작업은 듣기에 중점을 두고 관객이 주변 환경을 다르게 인지하도록 초대한다. 종종 지역 공동체와 작업하며 공공장소를 활용하는 협업 과정을 맥락으로 그 안에서 작품을 실험하며 선보인다. 블룸은 태국 비엔날레, 쏘나미 아르테 소노로, CTM 페스티벌, 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루프 바르셀로나, 벨루아르 볼베르크, 소닉 액츠 등의 국제 페스티벌과 전시회에 참여한 바 있다.                                        
더보기

Artwork

작품

사무드라 만탄: 바다 휘젓기

샤일레쉬 비알
                                            샤일레쉬 비알의 작품은 실존 지식, 체계, 전통, 의식, 형이상학, 철학 이론을 과학, 기술, 그리고 예술적 개입으로 살펴보며 철학적 사고를 중심으로 세상을 두루 고찰한다. 작가는 다채로운 시각 언어를 가지
고 내재적 세계의 모순된 관점, 생각, 기분, 느낌과 외부 세상의 사물, 기계, 지형, 현상의 철학적 맥락을 엮으려 한다.

인도 전통 지식 체계 혹은 교육인 구루쿨을 다니면서 그는 배움의 일부로 지식의 근원을 파헤치며 논리학으로 접근했던 고대 산스크리트어 문헌인 타르카 샤스트라와 신화 경전을 접하였다. 타르카 샤스트라에는 사물과 형태의 외부적 아름다움 혹은 기능성에 내재한 의미, 확장된 함축성, 그리고 사물에 대한 결과론적 비판 분석 사이의 배움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었고, 이는 작가의 예술적 실천을 이끌었다. 그는 동시대 인간의 필요, 역할, 책임과 관련된 현시대의 과학적 방법과 기계적 체계에 이러한 배움을 결합한다.

이번 출품작 〈사무드라 만탄: 바다 휘젓기〉로 작가는 바닷물이 담긴 탱크 안에서 끊임없이 회전하며 물을 휘젓는 산 모형의 키네틱 아트를 제작하여 이러한 점을 탐구하고 시사한다. 동명의 인도 신화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은 세상과 삼라만상이 태동하고, 불멸의 꿀과 독이 생겨난 이야기를 풀어낸다. 신화에서 하늘 신들은 마왕들과 손잡고 바다를 휘저어 불멸의 꿀을 얻기 위해 평등과 외교를 약속한 연대를 맺고, 뱀들의 왕인 바수키가 밧줄이 되어 만다라 산을 막대기처럼 휘감아 정교하게 바다를 휘저었다. 하지만 바다 휘젓기가 끝나자, 신들은 얻은 꿀을 모두 먹어버리고 마왕들에게는 결국 독만 남겨지게 된다.

키네틱 프로젝트 〈사무드라 만탄: 바다 휘젓기〉는 욕망에 대한 신화를 오늘날 속세의 맥락으로 시각화한다. 모두가 불멸의 꿀을 욕망하지만, 누군가는 불가피하게 독을 마셔야 한다. 이야기 속에서 불멸을 이루고자 하는 열망은 동시대 문제와 연관되며 또한 상징적이고 은유적으로 심오하게 드러난다.

바다는 그 광활함과 무한한 잠재력으로 태고부터 인간에게 자원의 보고가 되어주었다. 현대 사회에서 바다는 우리에게 식량과 연료, 에너지와 치료제, 광물, 보석과 같은 각종 재료를 제공해 주는 가장 가치 있는 천연 비축 기지로 인식된다. 바다 자원을 추출하는 과정은 바다 휘젓기 신화의 핵심 이야기가 재현된 듯 원유를 채취하기 위해 주로 해저를 시추한다. 〈바다 휘젓기〉 프로젝트는 그 꿀과 독이 소비 산업에서 일구어지는 우리의 끝없는 시추의 대가임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사무드라 만탄: 바다 휘젓기〉는 오늘날 해양 자원 추출의 양극화 효과를 구축과 해체, 소비의 개념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작가는 사회정치적 계급이 결국 드러내지도록 기술을 활용하여 그의 생각을 반영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더보기
작품

플라스틱 만다라: 생태계 순환을 위한 문양

정은혜 & 이준
                                            〈플라스틱 만다라: 생태계 순환을 위한 문양〉은 작가 정은혜와 이준의 협업으로 지구의 소리가 만드는 문양에 집중한다.

작품에 사용된 이 플라스틱 조각은 정은혜 작가가 설립한 생태예술 단체 에코오롯 회원들과 자원봉사자들이 5년간 제주 함덕 해변에서 함께 수집한 것이다. 이 만다라 문양은 지구 표면과 대기 전리층 사이에서 포착되는 지구의 ‘심장 소리’ 혹은 ‘콧노래’로 불리는 번개가 일으키는 전자기장파의 공명, 슈만 공명을 활용해 만들어진다.

뇌우는 초당 약 50회의 번개 섬광을 생성하고 지구 표면과 전리층 사이에 전자기파를 포획하는데, 이러한 파동 중 일부는 결합하어 평균 7.83 Hz의 극저주파인, 일명 지구의 심장박동이라 불리는 슈만 공명을 만들어 낸다.

몇몇 과학자들은 이러한 공명의 변화가 계절의 변화, 태양의 활동 혹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 등 지구와 결부된 현상들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지구 진동의 상승은 사람이 더 불안해지는 하나의 요인일 수 있다는 이론도 존재한다. 확실한 과학적 증거는 없지만, 이러한 이론은 우리가 지구의 진동과 뇌파가 겹칠 때 가장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아마도 슈만 공명은 우리와 지구의 밀접한 관계를 상기시켜 주는 하나의 중요한 지표일지도 모른다.

정은혜 작가의 슈만 공명에 관한 관심은 어린 시절부터 조용한 곳에서만 낮게 느껴지는 진동 소리를 탐구하면서 대부분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작가와 에코오롯 참여자들은 해변에 무릎을 꿇고 손으로 모래를 쓰다듬으며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바닷소리를 들으며 기도와 같은 강렬한 경험으로 작품의 일부가 된다. 엄마의 자궁 안에서 소리가 촉각으로 감각되어 경험되는 듯 〈플라스틱 만다라: 생태계 순환을 위한 문양〉으로 소리는 만져진다.

〈플라스틱 만다라〉는 승려들이 며칠 혹은 몇 주에 걸쳐 아름답고 다채로운 모래 만다라를 완성한 후 다시 흩어버리는 티베트 불교 의식에서 영감을 얻었다. 의식이 끝나면 승려들은 복을 받은, 이제는 복 그 자체가 된 모래를 근처 개울에 부어 우리를 하나로 연결하는 바다를 통해 모든 생명에게 복이 닿게 한다.

이 작품은 플라스틱이 난무하는 현실 앞에서 느끼는 절망감과 바다에서 플라스틱을 거둬들여 바다를 축복하고자 하는 바람을 동시에 표현한다.〈플라스틱 만다라〉는 새롭거나 유용하거나 영원하지 않으며, 해체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

에코오롯 참여자가 〈플라스틱 만다라〉를 만드는 영상을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jd1t9OWC2I&t=302s                                        
더보기
작품

이것은 좋은 사인이 아니다

제이알 카펜터 & 토모 키하라
                                            기후 변화는 시공간에 따라 아득하고 멀게만 느껴진다. 그러나 이미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출품작 <이것은 좋은 사인이 아니다>는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시 프로젝트이자 장소 특정적 설치작품이다. 이 작품은 해수욕장을 따라 설치된 실물 사인과 웹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로 구성된다. QR 코드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증강현실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기후 환경에 관한 질문을 담은 AR 사인이 관람객 주위에 나타난다. ‘하늘이 어떻게 이렇게 푸른가?’, ‘항상 이렇게 비가 왔던가?’와 같은 사인들은 이미 우리 주위에서 벌어지고 있는 크고 작은 기후 변화에 관한 관심을 촉구하며 유쾌한 반응을 유도한다.

이 작품은 2021년 런던에서 열렸던 실험적 게임 페스티벌인 Now Play This에 처음 출품된 이후, 런던 빅토리아 알버트 미술관에서 전시된 Digital Design Weekend와 베를린에서 개최된  Everything Will be Fine 전시 주제에 맞춰 ‘Time rivers under us. 시간은 우리 밑으로 강물처럼 흐른다.’, ‘It’s fine. 괜찮아요.’ 등 새로운 사인이 추가되었다.

이번 바다미술제를 위해 카펜터와 키하라 작가는 일광해수욕장 환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다섯 개의 한글과 영어 사인을 제작했다. 이 다섯 개의 사인이 모여 다음과 같은 하나의 시가 된다.

바다가 이르게 일어난다.

공기가 내려앉는다 무겁게.

여기 바람이 산다.

급격한 땅의 변화.

우리의 꿈에 짠 기가 밴다.

이 작품은 일광 해수욕장에서 직접 경험하거나, 증강현실(AR) 앱(https://not-a-good-sign.com/)을 통해 어디서나 경험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작품

메릴린 페어스카이
                                            우리는 원자력 발전과 그에 따른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는지에 관해 더 나은 대중 참여와 투명하고 열린 토론을 어떻게 가능하게 할 수 있을까?

방사성 비둘기, 두 쌍의 쌍둥이, 대학살로 인해 잠잠하던 해변 마을에 대혼란이 일어난다. 새, 인간, 플루토늄을 비롯한 모든 것이 얽힌 이러한 환경 속에서는 그 무엇도 안전하지 않다.

출품작〈새〉는 세계에 대한 수동적 기록과 재구성을 넘어 창조와 구축에 집중하는 미학적 접근방식으로 환경 위협과 핵 불확실성이 큰 시대의 우리 일상과 핵의 관계를 의인화하여 현재 우리가 냉전 이후 핵 시대에 살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오늘날의 세계는 원자력 에너지와 그 위험, 계속되는 전쟁, 채굴 주의 및 폭력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무엇보다 우리는 후쿠시마 재해, 우크라이나 전쟁, 정치적 긴장과 갈등 이후 핵 시대가 건재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핵으로 인한 대학살의 위험이 훨씬 더 커질 수 있음을 알고 있다.

1998년부터 2010년 사이 영국 쿰브리아 소재 대규모 핵 재처리 시설인 셀라필드 주변 지역에서 발생한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얻은 이 영상에서 배우들은 당시 미디어에 기록된 다양한 이야기를 쏟아낸다. 영상은 해안과 원전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모든 형태의 생명이 얽힌 불안한 환경 속에 축적되고 소멸한다. 원전이 스며든 토지와 바다, 공기 환경은 인간의 행동으로 인해 뒤틀리고, 이러한 상황이 영상을 아우르는 주제이다. 영상에서 새는 멈출 수 없는, 변함없는 존재를 나타낸다.

새와 환경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사운드스케이프 사이로 배우들의 음성이 엮인다. 사운드스케이프는 멕 트래버스가 직접 만든, 전자 악기 트라우토니움의 21세기 버전인 독특한 악기로 제작됐다. 1920년대 독일 신디사이저인 트라우토니움은 알프레드 히치콕의 1963년 영화 〈새〉의 비음악적 사운드트랙 제작에 사용된 바 있으며, 멕 트래버스는 투라우토니움 곡을 작곡하고 연주할 수 있는 전 세계 오직 두 명의 연주자 중 한 명이다.                                        
더보기
작품

바다의 풍문

펠릭스 블룸
                                            만약 우리가 바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바다는 우리에게 뭐라고 할까?

2018년 태국에서 처음 제작되었던 출품작 〈바다의 풍문〉은 일광해수욕장 중앙에 놓인 사운드 설치작품이다. 바다가 연주하는 대나무 피리 오케스트라는 하루 종일 파도의 물결과 방향, 속도와 힘에 따라 아주 특별한 콘서트를 연다. 2023바다미술제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연주회에 초대된 여러분은 바다가 연주해 주는 이 음악의 시작과 끝을 그려볼 수 있다.

전 세계 모든 해안 지역과 문화에서 바다는 어전부터 현대 어업, 해양 운송 또는 관광에 이르기까지 생계 수단이었다. 바다는 자원 채굴과 더불어 편안함과 안도감을 찾을 수 있는 장소와도 연관이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인간과 바다의 관계는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보존하기 위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대한 전략으로 둑, 제방, 방파제와 같은 홍수 방지벽을 건설한다.

〈바다의 풍문〉은 대나무 방파제를 홍수 막는 장벽에서 소리를 듣기 위한 입구로 탈바꿈시켰다. 사운드 설치작품인 이 작품은 우리가 열린 공간에 모여 바다와 주변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명상할 수 있는 아주 특별한 장소를 제공한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사람과 자연이 대화할 수 있는 공간을 빚어낸다. 바다의 확장된 소리는 우리 자신, 우리를 둘러싼 자연과 타자에 마음을 기울이고 돌보며, 집중하는 연습으로 안내한다.

작품은 대나무 피리가 달린 백여 개의 대나무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작가는 기둥 끝에 바닷물이 드나들 수 있는 구멍을 뚫어 파도가 칠 때마다 공기층을 밀어내며 피리를 연주하도록 한다.

https://felixblume.com/rumorsfromthesea                                        
더보기

물고기 입맞춤

하이퍼콤프ㅣ10분 13초ㅣ드라마
작품 설명

포레스트 커리큘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주로 연구합니다. 작품 유랑하는 베스티아리는 이 연구의 일환으로, 비인간적 존재들이 근대 국민국가에 내재된 계급적이고 세습적인 폭력과 그에 따른 잔재들에 어떻게 대항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좌중을 압도하는 듯한 거대한 깃발들은 위태롭고도 불안하게 스스로를 지탱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깃발에는 벤조인이나 아편부터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까지 비인간 존재들을 상징하는 대상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각 깃발들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대표자로서 모두가 한데 결합되어 아상블라주 그 자체를 표상합니다. 또한 깃발들과 함께 설치된 사운드 작품은 방콕과 파주에서 채집된 고음역대의 풀벌레 소리, 인도네시아의 경주용 비둘기들의 소리,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재정 부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불필요한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그리고 위의 소리들을 찾아가는데 사용된 질문들과 조건들을 읽어 내려가는 내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디오 가이드
포레스트 커리큘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