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 Art Fastival 2023 Artwork

Plastic Mandala: A Pattern for the Cycle of Life
2023, Mixed media, Dimension variable.
Plastic Mandala - Earth Resonance, 2023, Ocean plastic trash, Dimension variable (Circular structure: 100×100cm).
Earth-Human Resonance Pattern, 2023, Single-channel digital motion graphics, 1920×1080 pixel.
Plastic Mandala Resonance Audio-Visualizer, 2023, Sound system, computer, data collectors, 60×60×50cm.
All Commissioned by Sea Art Festival 2023.
Description

Eunhae Jung and Zune Lee have collaborated on this installation creating mandala patterns from small and micro-ocean plastics generating visualizations of the earth’s frequency.

The plastic fragments have been collected from Hamden beach on Jeju island, in five years of activity collecting ocean plastics with volunteers and members of ECOOROT, an eco-art organization founded by Eunhae Jung. The mandala patterns here are generated using the Schumann Resonance - a series of resonating electromagnetic waves, driven by lightning activity, also known as the Earth’s “heartbeat” or “hum”.

Thunderstorms roll over Earth producing about 50 flashes of lightning per second and creating electromagnetic waves captured between the Earth’s surface and the ionosphere. Some of these waves combine to create a repeating atmospheric heartbeat or the Schumann resonance, an extremely low frequency at an average of 7.83 Hz.

Scientists have discovered that variations in the resonances correspond to changes in the seasons, solar activity, or activity in Earth's magnetic environment and other Earth-bound phenomena. There are theories that the earth’s vibrations are rising which can cause us anxiety, and although there is not hard scientific evidence for this, this theory emphasizes that we are most calm when our brain waves overlaps with the earth’s vibration, so maybe, the Schumann Resonance is a reminder of our connection an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arth.

Eunhae, since her childhood, wondered what this ever-present low sound was, which she was able to hear when everything else was quiet, but recently realized that many people can’t hear it.

Eunhae and the ECOOROT participants kneeling on the sand, stroking it with repetitive moves collecting microplastics while hearing the ocean sounds in the background, become part of a visceral experience that feels like a ritual or prayer. In the mother’s womb, the sound was experienced through tactile receptors. Sound was the touch.

The inspiration of Plastic Mandala came from the Tibetan Buddhist ceremony, where monks create a beautiful and colorful sand mandala for days to weeks, and when it’s complete, they dismantle it. Then they carry the sand, blessed and now blessing itself, and pour it into a nearby stream of water so that it will be flown into the ocean and to all living beings connected through the one ocean that connects us all.

The artwork expresses a sense of despair facing our plastic culture and the wish to bless the ocean by taking plastic out of the ocean. The artwork is complete when it is dismantled. It will not be turned into something new, useful, or permanent.

You can watch a video from a Plastic Mandala made by ECOOROT participants here:
https://www.youtube.com/watch?v=kjd1t9OWC2I&t=302s

Audio Guide
Eunhae Jung & Zune Lee More
LIST

물고기 입맞춤 플라스틱 만다라: 생태계 순환을 위한 문양

하이퍼콤프ㅣ10분 13초ㅣ드라마 2023, 혼합재료, 가변설치.
〈플라스틱 만다라 - 지구의 공명〉, 2023,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가변 크기(원형 구조물: 100×100cm).
〈지구-인간 공명 문양〉 2023, 단채널 디지털 모션 그래픽스, 1920×1080 픽셀.
〈플라스틱 만다라 공명 시청각장치〉, 2023, 사운드시스템, 컴퓨터, 데이터 수집장치, 60×60×50cm.
2023바다미술제 커미션 작품.
작품 설명

포레스트 커리큘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주로 연구합니다. 작품 유랑하는 베스티아리는 이 연구의 일환으로, 비인간적 존재들이 근대 국민국가에 내재된 계급적이고 세습적인 폭력과 그에 따른 잔재들에 어떻게 대항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좌중을 압도하는 듯한 거대한 깃발들은 위태롭고도 불안하게 스스로를 지탱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깃발에는 벤조인이나 아편부터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까지 비인간 존재들을 상징하는 대상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각 깃발들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대표자로서 모두가 한데 결합되어 아상블라주 그 자체를 표상합니다. 또한 깃발들과 함께 설치된 사운드 작품은 방콕과 파주에서 채집된 고음역대의 풀벌레 소리, 인도네시아의 경주용 비둘기들의 소리,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재정 부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불필요한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그리고 위의 소리들을 찾아가는데 사용된 질문들과 조건들을 읽어 내려가는 내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플라스틱 만다라: 생태계 순환을 위한 문양〉은 작가 정은혜와 이준의 협업으로 지구의 소리가 만드는 문양에 집중한다.

작품에 사용된 이 플라스틱 조각은 정은혜 작가가 설립한 생태예술 단체 에코오롯 회원들과 자원봉사자들이 5년간 제주 함덕 해변에서 함께 수집한 것이다. 이 만다라 문양은 지구 표면과 대기 전리층 사이에서 포착되는 지구의 ‘심장 소리’ 혹은 ‘콧노래’로 불리는 번개가 일으키는 전자기장파의 공명, 슈만 공명을 활용해 만들어진다.

뇌우는 초당 약 50회의 번개 섬광을 생성하고 지구 표면과 전리층 사이에 전자기파를 포획하는데, 이러한 파동 중 일부는 결합하어 평균 7.83 Hz의 극저주파인, 일명 지구의 심장박동이라 불리는 슈만 공명을 만들어 낸다.

몇몇 과학자들은 이러한 공명의 변화가 계절의 변화, 태양의 활동 혹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 등 지구와 결부된 현상들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지구 진동의 상승은 사람이 더 불안해지는 하나의 요인일 수 있다는 이론도 존재한다. 확실한 과학적 증거는 없지만, 이러한 이론은 우리가 지구의 진동과 뇌파가 겹칠 때 가장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아마도 슈만 공명은 우리와 지구의 밀접한 관계를 상기시켜 주는 하나의 중요한 지표일지도 모른다.

정은혜 작가의 슈만 공명에 관한 관심은 어린 시절부터 조용한 곳에서만 낮게 느껴지는 진동 소리를 탐구하면서 대부분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작가와 에코오롯 참여자들은 해변에 무릎을 꿇고 손으로 모래를 쓰다듬으며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바닷소리를 들으며 기도와 같은 강렬한 경험으로 작품의 일부가 된다. 엄마의 자궁 안에서 소리가 촉각으로 감각되어 경험되는 듯 〈플라스틱 만다라: 생태계 순환을 위한 문양〉으로 소리는 만져진다.

〈플라스틱 만다라〉는 승려들이 며칠 혹은 몇 주에 걸쳐 아름답고 다채로운 모래 만다라를 완성한 후 다시 흩어버리는 티베트 불교 의식에서 영감을 얻었다. 의식이 끝나면 승려들은 복을 받은, 이제는 복 그 자체가 된 모래를 근처 개울에 부어 우리를 하나로 연결하는 바다를 통해 모든 생명에게 복이 닿게 한다.

이 작품은 플라스틱이 난무하는 현실 앞에서 느끼는 절망감과 바다에서 플라스틱을 거둬들여 바다를 축복하고자 하는 바람을 동시에 표현한다.〈플라스틱 만다라〉는 새롭거나 유용하거나 영원하지 않으며, 해체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

에코오롯 참여자가 〈플라스틱 만다라〉를 만드는 영상을 아래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jd1t9OWC2I&t=302s

오디오 가이드
포레스트 커리큘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