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바다미술제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Flickering Shores, 
            Sea Imaginaries)》는 바다와 우리의 관계를 재고하게 하고, 
            해안의 아름다움과 취약성을 동시에 언급하며, 바다와 해양 환경에 
            관여하기 위한 대안적인 틀과 비전을 모색합니다.
        
            바다는 우리의 삶과 자본주의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생존에 필수적인 
            원천일 뿐만 아니라 식량, 의약품, 에너지, 광물, 무역, 여행 등을 위해 이용하는 
            거대 산업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규모 크루즈 관광, 해운, 남획부터 핵실험, 오염, 
            심해 채굴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바다에 해를 끼쳐 해양 
            생태계와 서식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는 해안에서 바라본 바다를 상품 이동에 쓰이는 
            분절되고 추상적인 표면으로 보는 대신 우리가 이 수역의 일부임을 상기시켜 줍니다. 
            올해 바다미술제는 바다 및 해양 생태와 맺는 새로운 관계를 탐색하고, 저항과 복원을 
            요청하는 차원에서 협력과 공동의 비전, 시너지 창출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
더보기

Artist

작가

리퀴드 타임

                                            리퀴드 타임(제이콥 볼튼 & 미리암 마티센)은 해운, 금융, 해양 세계의 일시성과 관련하여 작업하는 리서치 듀오로 2023년에 결성되었다. 제이콥 볼튼은 공급망 횡포와 자원 투쟁에 주목하는 건축 연구자이다. 미리암 마티센은 주요 물류와 도시 정치 생태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다. 또한 이들은 엘리자 에이더와 함께 선주들과 해운 업계 전반에서 조직적으로 선원을 유기하는 행위를 추적하는 온라인 (카운터) 매핑 프로젝트 Abandoned Seafarer Map을 운영하고 있다.                                        
더보기
작가

조은필

                                            조은필은 블루를 주된 조형 요소로 하여 일상적 소재를 비일상적, 초현실적 공간으로 전환한다. 작가의 블루는 단지 물질적 재료로서의 색만이 아니라, 모든 소재를 ‘청색화’하여 환영 공간이자 하나의 의미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작가의 설치 작업은 현장성에 대한 근원적 실험이자 도전이다. 이런 공간은 관람자뿐 아니라 작가 자신에게도 낯선 순간을 체험하게 한다. 최근에는 시간을 따라 변해가는 식물의 형태에 관심 두고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레지던시에서 작업 중이다. 또한 올해는 한강 프로젝트와 내년에는 이치하라 호반 미술관 전시를 앞두고 있다.                                        
더보기
작가

엠마 크리츨리

                                            엠마 크리츨리는 영화, 사진, 사운드, 설치, 무용 등 다양한 매체에서 물을 형식적인 재료 물성으로 사용한다. 그의 작품은 정치적, 철학적, 환경적 공간으로 수중 환경을 탐구하며, 2021년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공식 이탈리아관을 비롯하여 국내외 갤러리와 기관에서 광범위하게 전시되었다.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사운딩>은 심해와 심해 생태계에 관한 관심을 고취하는 데 필요할 의미 있는 관계 맺기를 조성하기 위해 영화와 사운드, 무용으로 우리와 심해를 어떻게 연결할지 탐구한다.                                        
더보기
작가

펠릭스 블룸

                                            펠릭스 블룸은 사운드 아티스트 겸 엔지니어이다. 소리를 주소재로 사운드 작품, 비디오, 액션, 설치 작업을 하는 그의 작업은 듣기에 중점을 두고 관객이 주변 환경을 다르게 인지하도록 초대한다. 종종 지역 공동체와 작업하며 공공장소를 활용하는 협업 과정을 맥락으로 그 안에서 작품을 실험하며 선보인다. 블룸은 태국 비엔날레, 쏘나미 아르테 소노로, CTM 페스티벌, 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루프 바르셀로나, 벨루아르 볼베르크, 소닉 액츠 등의 국제 페스티벌과 전시회에 참여한 바 있다.                                        
더보기
작가

무한나드 쇼노

                                            무한나드 쇼노는 작품의 매체나 규모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그의 작업은 이야기로 촉매화되고 구조화되며 개인적, 집단적, 역사적 진실을 창작하고 견주며 내러티브의 힘을 활용한다. 활동 초기부터 지금까지, 어린 시절 기억의 영향을 받아 작가는 자신의 삶을 특징짓는 실제 경계와 실존하지 않는 경계를 탐구하는 데 작업의 목표와 표현의 뿌리를 둔다. 사적인 드로잉에서부터 대규모 조형 작업과 기계적이고 기술적 작품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걸쳐 선보여 온 그의 모든 작품은 우리에게 권하고자 하는 여정을 밝혀준다.                                        
더보기

Artwork

작품

메아리, 바다 가득히

김덕희
                                            출품작 〈메아리, 바다 가득히〉는 8미터 폭, 4미터 높이의 그물 형태의 설치작품이다. 그물은 시민들의 사연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진주와 비즈로 복잡하게 짜여 있다. 둥글고 빛나는 진주는 소중한 순간, 감정, 기억을 상징한다. 동시에 길쭉한 비즈와 진주의 배열은 문자 기호를 신호 배열로 입력하는 모스 부호를 나타낸다. 모스 부호의 각 펄스는 이제는 만날 수 없는, 소중한 누군가를 향해 쓰인 메시지이다.

그물의 섬세한 가닥 안에 얽힌 보이지 않는 목소리가 지금은 곁에 없는 그들에게 전달되길 바라며, 바다는 많은 사람에게 어려움과 위태로움의 공간임을 기억한다. 우리는 진주와 비즈의 투명한 반짝임을 바라보며 그들이 다시 메아리쳐 오길 기도해 본다.

작품은 해변 위, 바다와 하늘의 경계에서 자유롭게 출렁거린다. 섬세히 짜인 그물은 넋들이 떠난 먼바다를 향해 손을 뻗으며 그리움의 상징으로 하늘에 걸려 있다.                                        
더보기
작품

해일의 속삭임: 부산의 해양 이야기

로베르티나 세브야닉
                                            로베르티나 세브야닉의 몰입형 사운드 설치 작품은 인간과 인간이 아닌 생명체의 관계뿐 아니라 상호 연결된 세계, 생태계 간의 긴장감을 탐색하는 공간을 창조한다.

출품작 〈해일의 속삭임: 부산의 해양 이야기〉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수집한 해양생물의 소리와 인간의 노래를 바닷속 소리에 덧붙여 함께 들려준다.

작품은 상호 의존적 관계로, 물로 연결된 지구를 상상하며 인간 세상을 넘어 해양 생태계, 지리, 문화를 파고든다.

학제적이고 시적인 이 작품은 파도 밑 해양 생물을 향한 공감(성)을 불러일으켜 낸다. 〈그들의 노래〉라는 시를 통해 이들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우리의 행동이 바다와 해양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숙고한다. 작가의 작업은 동물과 인간, 이종 간 소통을 예술과 기술의 교류와 학제적 조사를 통해 탐구하며 전 세계 해양과 바다에서 일어나는 심해 소음 공해와 생태계적 결과를 시사한다.

인간과 해양 이야기, 과학과 신화가 함께 물결치는 〈해일의 속삭임: 부산의 해양 이야기〉는 모든 생물과 생명체가 크든 작든,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함께 경험을 공유하고 깊이 연결된다는 세계관을 제시하며 해양 생명체의 회복력을 기리며 이야기한다.

Credits
Artist: Robertina Šebjanič
Text, music, textile, audio: Robertina Šebjanič (SIovenia)
Narrators, voice: Polona Torkar (Slovenia) and Pilljae Kim (Slovenia / South Korea)
Recording of voice and mastering: Rok Kovatch (Slovenia)
Field recordings: KIOST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rchitecture support of the installation: studioentropia                                        
더보기
작품

모래알 속에서 세상을 보다: 한국의 숨겨진 이야기

아틀리에 엔엘
                                            모래알을 자세히 관찰해 본 경험이 있는가? 모래알은 세상의 작은 일부분이며, 저마다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는 상상을 해보았는가?

한 알의 모래는 물과 바람, 얼음이 이끄는 대로 긴 여정을 지나왔다. 사람처럼 모래는 한 알 한 알마다 특징이 있고 땅이 가진 고유한 이야기, 더 나아가 역사를 담고 있다. 또한 모래는 우리 삶에서 정말 중요한 물질이다. 모래가 없으면 유리도, 컴퓨터 칩도, 건물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출품작 〈모래알 속에서 세상을 보다〉는 자연 모래를 녹여 만든 유리에 숨겨진 이야기를 드러내며, 전 세계에서 다양한 이들이 보내준 작은 모래 표본을 통해 지구의 지도를 그려내는 프로젝트다. 덥고 건조한 사막에서 춥고 눈 덮인 산으로부터, 번화한 도시의 고층 빌딩에서 고고학적 유적으로, 보이지 않는 정치적 경계에서 광활하고 탁 트인 풍경으로, 발굴된 금광에서 고대 해저로 혹은 내란의 땅에서 고요한 휴양 섬까지. 지구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지리적 다양성이 드러날 때, 모래의 생태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작은 모래알에 강력한 사회적, 정치적 역사 또한 담겨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번 바다미술제를 위해 아틀리에 엔엘은 한국의 역사를 파고든다.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지구의 이야기 속에서 수십 억 년을 거쳐 빚어진 모래는 시간의 흐름을 목도한 고요한 목격자이다. 하지만 풍부해 보이는 모래라는 자원도 이제는 끝을 모르는 수요로 인해 점차 희소해지며 긴박한 글로벌 위기를 맞닥뜨린다.

우리는 매년 전 세계 해변, 강, 바다, 채석장에서 수십억 톤의 모래를 채취하여 인프라와 기술에 활용합니다. 이로 인해 모래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사라지는 천연 자원 중 하나가 되었으며,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모래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전 세계적 어려움 속에 한국은 갈림길에 서 있다.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한국은 원대한 발전 계획과 환경 보호 간에 섬세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마천루가 맞닿은 부산의 스카이라인은 모래가 건설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그렇게 부산을 둘러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모래를 관리하는 것이 도시를 유지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는 점을 절실히 깨닫게 해준다. 작은 모래 한 알에 우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이야기를 담은 이 작품은 우리가 이 세계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도록 초대한다.

모래는 다양한 작업을 하는 홍보라 디자이너가 수집하였다. 현재 치앙마이에서 거주하고 있는 그는 열흘간의 국내 여행 기간 해안선을 따라 여러 해변에서 모은 모래로 한국 지도를 시각화하였다. 강과 작은 개울을 따라 탐험하며 예상하지 못했던 아름답고 고요한 장소를 발견하게 되었다. ‘aworldofsand.com’에 참여함으로써 디자이너는 한국의 풍부한 문화유산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비추는 기억과 이야기가 담긴 모래를 발견하게 되었다.

아틀리에 엔엘은 홍보라 디자이너의 매혹적인 여정을 따라 모래가 말하고 있는 각각의 이야기를 역사와 이주, 의미, 생태, 지연, 희소라는 여섯 가지 주제로 나누어 모래의 중요성과 모래가 환기하는 기억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시한다.                                        
더보기
작품

온전해지는 방법

카시아 몰가
                                            출품작 〈온전해지는 방법〉은 포괄적 개념으로 눈물, 땀, 소변을 포함한 인체 분비물이 수생 유기체의 안녕에 어떻게 기여할지 고찰한다.

작가의 대표 작품 〈바다가 되는 법〉에서 작가는 작은 해양생태계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인간의 눈물을 모아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출품작은 그 연장선상으로 일련의 질문을 던진다. 해양 생태계를 위한 가장 풍부한 영양분이 되려면 우리는 몸을 어떻게 돌봐야 할까? 인체에서 이런 영양분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어떤 도구가 필요할까? 채취한 성분의 적합성은 어떻게 테스트할까? 이런 과정과, 인체와 해양을 연결 짓는 미학은 무엇일까?

지금까지 지속해 온 작가의 연구는 기록과 실험 도구를 통해 이번 바다미술제에서 전시된다. 작가의 인체에서 추출된 분비물의 화학 구성분 기록과 식단(자원으로 변화하는 과정의 기록), 인체 분비물에서 영양분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했던 도구 스케치 연작(영양분 채취용 도구), 실험 맞춤으로 발명된 기구들이 선보여진다.

무엇보다 이번 출품작은 특별히 제작된 서너 개의 유리병이 설치의 중심이다. 연결된 이 유리병에 담긴 다양한 신체 분비물은 바닷물과 섞여, 선별된 수생 식물이 성장하고 발달하도록 영향을 준다. 작품은 인간과 인간이 아닌 생명체의 안녕과 생존이 밀접함을 시사하고, 우리는 분리된 개체가 아닌, 두 자연과 해양을 이루는 부분임을 상기시킨다.

해양 생태계에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해 당신은 어떤 준비를 할 수 있는가?                                        
더보기
작품

물고기 입맞춤

하이퍼콤프
                                            해양 생태계는 어떻게 우리의 도시 생활 방식과 관습에 연결되어 있을까?

〈물고기 입맞춤〉은 도시 가정과 바다의 가깝지만, 종종 먼 관계를 탐구하는 단편 영상이다. 그리스의 유명한 돔나 사미우 합창단이 부르는 전통적인 섬 노래가 깔린 이 영상은 한 주방 싱크대 위에서 전개된다.

영상은 두 주인공인 한 여성과 성게가 서로에게 나란히 길들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물고기 입맞춤〉은 식사 준비, 전통 가곡, 환경 뉴스와 기후에 대한 우려, 물고기의 머리나 내장으로 점을 치는 물고기점, 생체 조직 검사 등을 언급하며 인간의 공간과 해양 생태계 간의 물리적 관계와 문화적 관련성을 그려낸다. 이 작품은 관광 및 에너지 산업으로 즐거움과 자원, 그리고 영양분 채취를 위한 보물고에서 불모지로 바다를 바꾸어 버린 우리의 문화적 관점을 고찰하고 미래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물고기 입맞춤

하이퍼콤프ㅣ10분 13초ㅣ드라마
작품 설명

포레스트 커리큘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주로 연구합니다. 작품 유랑하는 베스티아리는 이 연구의 일환으로, 비인간적 존재들이 근대 국민국가에 내재된 계급적이고 세습적인 폭력과 그에 따른 잔재들에 어떻게 대항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좌중을 압도하는 듯한 거대한 깃발들은 위태롭고도 불안하게 스스로를 지탱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깃발에는 벤조인이나 아편부터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까지 비인간 존재들을 상징하는 대상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각 깃발들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대표자로서 모두가 한데 결합되어 아상블라주 그 자체를 표상합니다. 또한 깃발들과 함께 설치된 사운드 작품은 방콕과 파주에서 채집된 고음역대의 풀벌레 소리, 인도네시아의 경주용 비둘기들의 소리,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재정 부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불필요한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그리고 위의 소리들을 찾아가는데 사용된 질문들과 조건들을 읽어 내려가는 내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디오 가이드
포레스트 커리큘럼 더보기